IPHONE RINGTONE REMIX

Live Audiovisual Performance


NxPC 《Online Concert vol.46 x 1/2》


2020.10.03


온라인 스트리밍 Online Streaming


IAMAS 소속 NxPC.Lab(Next Dimension Plural Media Club Experience)에서 코로나 상황에 맞춰 기획한 공간 증강현실 기반 융합형 퍼포먼스 공연. 이 공연은 실시간으로 촬영한 기본 영상에 Touch Designer로 작업한 영상을 합성하여 유튜브로 송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코로나 상황 속에서도 관객이 즐겁게 경험할 수 있는 공연을 만들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우리에게 익숙한 아이폰 벨소리를 편곡하고, 그 음악에 맞춘 댄스를 추가하여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 또한, 공연의 의상과 영상 속에서 코로나와 관련된 이미지를 담아내어 시대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시도도 엿볼 수 있다.


This performance was a hybrid, space-augmented reality production organized by NxPC.Lab (Next Dimension Plural Media Club Experience) at IAMAS, designed in response to the circumstances of the COVID-19 pandemic. The performance was streamed on YouTube, combining live video footage with real-time visual compositions created in TouchDesigner.

The project aimed to create a performance that audiences could enjoy even amid pandemic restrictions. To achieve this, the familiar iPhone ringtone was rearranged into a musical piece, accompanied by choreography that added a sense of playful novelty. Additionally, the costumes and visual elements incorporated imagery related to COVID-19, reflecting an attempt to convey a message resonant with the spirit of the times.


© IAMAS

© IAMAS

© IAMAS

© IAMAS

© IAMAS



Credits

기획 | Planning by : 루씨초 | Lucy Cho
사운드 디자인 | Sound Design : 루씨초 | Lucy Cho
조명 디자인 | Lighting Design : 루씨초 | Lucy Cho
비주얼 디자인 | Visual Design : Ayumi Nagai
퍼포먼스 | Performance by : Kartika Menon, Keizou Tanji





SOUND SCULPTURE

Collaborated with Keizou Tanji
Installation


IAMAS Showcase Exhibition 《SOUND SCULPTURE》


2020.09.10 - 2020.09.30


Softpia Japan Center 1F Showcase


알지도 못하는 바이러스가 맹위를 떨치던 때, '우리가 겪고 있는 이 불안이라는 감정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조형물에 담았다. 

2020년 6월 어느 날 새벽 12시부터 3시간 간격으로 녹음한 9개의 음성을 모티브로 제작한 조형물이다. 9개의 파형은 그 시간대의 감정을 담아 발산한 내 호흡의 양상이며, 일본의 미즈기와 정책으로 한국으로부터 일본에 재입국이 불가능했으므로, 불가피하게 Keizou Tanji와 원격으로 작업하였다. 나는 조형물을 모델링하고 분해하여 stl 형식의 파일로 Tanji에게 보내고, Tanji는 그 분해된 데이터를 받아 출력 후 가공하여 디스플레이하였다.

Tanji는 조금씩 형태를 갖추어가는 오브제를 보며, 이것이 본래 어떤 의미를 지녔는가를 생각해보는 일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언급했다. "알지 못하는 것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만들어, 알지 못하는 것조차 잊어버려, 다시 알지 못하는 것을 기억해내려 하고 있다."

불안이라는 이 복잡한 감정은 3D프린터로 빚어진 인공 조형물로써 나타낼 수 없으며, 우리의 작업 과정처럼, 이 특수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단절되고 또 단절된다.


© IAMAS


At a time when an unknown virus was raging across the world, I sought to express the pervasive feeling of anxiety we were all experiencing through a sculptural form. 

The work was inspired by nine audio recordings captured every three hours from midnight onward on a single day in June 2020. Each waveform represents the rhythm of my breathing at that moment, embodying the emotional states I passed through over time.

Due to Japan’s mizugiwa (border control) policy during the pandemic, re-entry from Korea to Japan was impossible, and I was therefore compelled to collaborate remotely with Keizou Tanji. I modeled and disassembled the sculpture digitally, sending Tanji the data in STL format. He received the fragmented files, printed and processed them, and then displayed the completed piece in Japan.

Reflecting on the process, Tanji remarked that as the object gradually took shape, “the act of contemplating what it originally meant completely disappeared. In making something without knowing, we forget even our unknowing, and then try to remember what we do not know once again.”

The complex emotion of anxiety cannot truly be embodied by a 3D-printed form. Much like our process itself, this work speaks to the repeated cycles of disconnection and fragmentation that define human experience in such extraordinary times.


00:00
03:00
06:00
09:00
12:00
15:00
18:00
21:00
24:00

Image Capture of 9 Recordings


Credits

3D 모델링 | 3D Modeling : 루씨초 | Lucy Cho
설치 | Installation : Keizou Tanji





SARASARA

tape music


EMAP: Ewha Media Art Presentation 2019


2019.05.30 - 2019.06.01


ECC (Ewha Campus Complex)


さらさら
1. 사물이 가볍게 스치는 소리 | The sound of something lightly brushing past
2. 사물이 거침없이 나아가는 모양 | The state of something moving smoothly without resistance

가볍게 스쳐 간 질문들이 때로는 거침없는 형태로 나를 잡아먹기 시작한다.

Toru Takemitsu 의 Ki. Sora. Tori 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단어 자체가 주는 억양, 호흡 등을 살려 곡에서 표현하려 하였으며, 점차 간격이 넓어지는 Sarasara의 길이는 자신의 내적공간에 깊이 빠져드는 모습을 보여준다.

Light, fleeting questions sometimes begin to consume me in unstoppable forms.

This piece was deeply influenced by Toru Takemitsu’s Ki. Sora. Tori. I sought to reflect the nuances, intonation, and breathing inherent in the word itself within the music. The gradually widening intervals of Sarasara represent a descent into one’s own inner space.








GROWLING

for Snare Drum and Audio-Visual Media


NYCEMF: New York City Electroacoustic Music Festival 2020


온라인 스트리밍 Online Streaming


이 곡의 소재는 탁구공이 떨어지는 소리로부터 시작되었다. 탁구공이 중력에 못 이겨 힘없이 떨어지는 리듬은 길을 잃고 좌절하는 한 인간을 상징한다. 한 인간의 자아를 찾으려는 외침은 쉽게 포기될 때도 많지만, 지속적인 외침을 통해 자신만의 길을 찾아 나간다.

이 곡의 주요 소재인 ‘외침’, ‘부르짖음’은 일반적인 스네어 드럼의 소리로부터 확장된 다양한 음색적 실험으로 표현된다. tape 부분과 연주자가 지속해서 그리고 있는 원의 이미지는 삶의 반복성을 의미한다. 이 곡에서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오디오 부분은 MaxMsp를 활용하고 있으며, Jitter를 활용한 추상적인 영상에서는 해체된 이미지가 서로 결합하는 과정을 통해 점차 본연의 모습을 드러낸다. 이는 선명하지 않지만, 점차 보이기 시작하는 한 인간의 자아를 상징한다.

The piece originates from the sound of a ping-pong ball falling. The rhythm of the ball, succumbing to gravity and dropping helplessly, symbolizes a human being who has lost their way and fallen into despair. The cry of one seeking their own identity is often abandoned easily, yet through persistent calling, they eventually find their own path.

The central motifs of the work—the cry and the outcry—are expressed through a series of timbral experiments that expand upon the conventional sound of the snare drum. The image of the circle continuously drawn by the performer, along with the tape section, represents the repetitive nature of life.

The live audio elements are controlled using Max/MSP, while the abstract visuals created in Jitter depict fragmented images gradually merging into a cohesive form—symbolizing the emergence of a human self that is not yet clear, but slowly coming into view.



Credits

작곡 | Music Composition : 루씨초 | Lucy Cho
비주얼 디자인 | Visual Design : 루씨초 | Lucy Cho
퍼커션 | Percussion : 손지영 | Jiyoung Son
음향 | Sound Engineering : 조예본, 임성열 | Yeabon Jo, Seongyeol Lim





REFLECTION

for 3 Clarinets in Bb


2017 이화성곡 Ewha Composition Recital 2017


2017.05.16


김영의홀 Kim Yeong’s Hall 


이 곡은 사진작가 Vivian Maier - <Self-Portrait, May 5th, 1955>라는 제목의 사진 속 Infinity Mirror로부터 시작되었다. 클라리넷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소리에서 더욱 확대하여 악기의 특수주법을 활용한 음색의 가능성을 실험한다. 그러한 소리의 울림을 통하여 나만의 ‘반향’을 만들고자 시도하였다.

This piece was inspired by photographer Vivian Maier’s Self-Portrait, May 5th, 1955, particularly the infinity mirror depicted within the image. Expanding beyond the clarinet’s conventional sound, the work explores the instrument’s timbral possibilities through the use of extended techniques. Through these resonances, I sought to create my own sense of echo—a reflection of self that reverberates within sound.




Credits

작곡 | Music Composition : 루씨초 | Lucy Cho
클라리넷 | Clarinet : 최민식, 이지예, 홍세화 | Minsik Choi, Jiyae Lee, Sehwa Hong